미투(Me, too) 전략
오늘은 아무리 머리를 짜내도 만화가 안 떠올라서,
글과 사진만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래, 어차피 재미도 없는 만화, 잘 됐다.'
스~읍!! 주연아!! 너!! 주연아!!
.................
(죄송)
오늘은 길고 긴 시간동안 우리나라 고유의 제품이라고 생각해 왔던 과자들의 진상을 파헤쳐 보고자 합니다.
그 전에, 'Me, too' 전략이라는 것에 대해서 조금 집고 넘어가야겠군요.
'미투 전략'이란 마케팅용어라고 해야 할까요?
말 그대로 '나도 너처럼 잘 되보자!!' 하는 의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마디로 따라한다는 얘기죠.
오리온이 초코파이를 만들어서 히트를 치자 롯데도 초코파이를 출시해서 히트 대열에 은근히 합류를 한다든지,
비타 500이 히트를 치자 비타 1000이 등장한다던지...
뭐 이런 것들을 모두 '미투 전략이라고 합니다.
"그냥, 베끼기 짝퉁 전략이잖아!"
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이런식으로 비슷한 제품을 출시해서 소비자가 혼란을 겪는 틈을 노려 단기적으로는 판매이익과
장기적으로는 1위 역전의 기회를 보다 손쉽게 만드는 마케팅 전략 중 하나입니다.
그 1위를 뺏기지 않으려고 1위인 기업은 긴장하며 새로운 홍보방법을 생각하고,
또 그 밑의 차기 주자들은 그 1위를 탈환하려고 악착같이 노력을 하는 경쟁구도가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것입니다.
허나, 이런 것은 어디까지 경쟁을 유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이죠.
베낀 제품인가 아닌가 소비자의 판단이 가능 하고, 기업들은 그것을 서로 견제를 할 수 있고.
소비자가 그것이 '미투 전략'으로 나온 것인지 알 수 없다면, 그것은 단지 표절이라고 밖에 생각할 수 없지요.
뭐, 전문가도 아닌 주제에 주절주절 말이 많아졌습니다만, 요는 뭐가 얘기하고 싶었냐 하면,
진정한 '미투 전략'이라면 소비자가 볼 수 있는 곳에서 당당히 자기가 차기 주자이며 비슷한 제품을 만들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일본에서 히트친 제품을 살며시 배껴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대표하는 과자인냥 장수 힛트상품으로 자리잡은 과자들이 몇몇 있어서, 그것을 고발하고자 오늘 페이퍼를 쓰게 되었습니다.
그 과자들은 과자의 모양, 맛, 패키지 디자인, 캐릭터 등등... 거의 모든 것을 따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는 '미투 전략' 이라고 바락바락 우기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소개시켜드릴 과자들은 일본이 대게 3-5년정도 출시가 빠릅니다.
그 짝퉁 과자들을 보면서 열도 받고, 공부도 하고, 1석 2조를 갈구해 봅시다!
대충 둘러 보셨는데요, 요즘 일본에선 이런 한국 제품들의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일본 제품 바로 옆에 놓고 반값에 팔거나 하는 곳도 있죠.
왠지 한국이 싸보이는 것 같아서 싫다는...
기왕 '미투 전략'으로 팔거면 가격대를 비슷하게 해서 팔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러고보니 베끼기로 한국에 가지고 들어왔던 새우깡은 '매운 새우깡'같은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우리를 즐겁게 해주긴 했군요.
나쁘다고만 할 수는 없지만 기분이 그닥 개운치만은 않다는...
속은 기분이 들어서 말여요.
중국이 맨날 따라한다고 뭐라고 할게 아니네요.
추신: 궁금해 하실 분들이 있을 것 같아서 미리 말씀드리는데, 저 과자는 촬영 후 다 먹었습니다.
참고로 과자 모양도 우리나라랑 완전 똑같아요.
댓글 총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