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
띠로 나이 말하는거... 나만 불편한가? 흠흠...
(#~_~#);;
오늘의 일본어는 지난번 것과 연계해서...
1. 졸리죠?
=>眠ねむい(ん)でしょう? (네무이(ㄴ)데쇼우? )
'眠ねむい(네무이)' + でしょう? (데쇼우)
(졸리다) (~지?, ~지요?)
'ん(음)' 이 붙으면 강조하는 뉘앙스가 됩니다. (회화체)
2. 사랑하지?
=> 愛あいしてる(ん)でしょう? (아이시테루(ㄴ)데쇼우? )
우선 일본어로 '사랑해' 가 무엇인지 알아야겠죠?
흔히 '愛あいする(아이스루)' 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많은데
'愛あいして(い)る(아이시테(이)루)' 입니다. ('い(이)'는 주로 생략해서 씁니다.)
愛あい(아이): 사랑
して(시테): 하고, 해서. - 'する(스루): 하다' 의 변형.
いる(이루): 있다.
즉, 전부 쭐쭐이 더해서 '아이 + 시테 + (이)루'
愛あいして(い)る!! (아이시테(이)루): 사랑하고 있어, 사랑해
입니다.
현재도 사랑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진행형으로 쓰는 거죠.
愛あいする(아이스루) 라고 하면 '(이제부터)사랑할께' 라는 의미로 들립니다.
요 주의!
"오빤, 널 사랑하고 있어~" 반짝~
얻어 터져도 얼굴은 유지한다!
'愛あいでしょう?' 라고 하시는 분도 있는데
그렇게 말하면 '사랑하지' 가 아니라 '사랑이죠?', '사랑이지?' 라는 뜻이 된답니다. ^^;;
그리하야, '사랑하지?' 라고 말 하고 싶다면
愛あいして(い)るでしょう? (아이시테이루데쇼우? )
3. 물 마실거죠?
=> 水みず(を) 飲のむ(ん)でしょう? (미즈(오) 노무(ㄴ)데쇼우? )
水みず(미즈) + を(오) + 飲のむ(노무) + でしょう? (데쇼우)
(물) (을/를) (마시다) (~지?, ~지요?)
4. 갈거죠?
=> 行いく(ん)でしょう? (이쿠(ㄴ)데쇼우? )
行いく + でしょう?
(가다) (~지? ~지요?)
5. 자동차 샀지?
=> 車くるま(を) 買かった(ん)でしょう? (쿠루마(오) 캇따(ㄴ)데쇼우? )
車くるま(쿠루마: 차) 대신 自動車じどうしゃ(지도우샤: 자동차) 도 됩니다.
잘 보시면 과거형이 들어있습니다!!!
사다>
현재형: 買かう(카우) => 과거형: 買かった(카ㅅ따) - '캇따' 라고 발음하세요.
내친김에 과거형 공부 비슷한걸루다가 몇 개만 더 해볼까요?
만나다>
会あう(아우) =>会あった(아ㅅ따, 앗따)
만지다>
触さわる(사와루) => 触さわった(사와ㅅ따, 사왓따)
때리다>
殴なぐる(나구루) => 殴なぐった(나구ㅅ따, 나굿따)
이기다>
勝かつ(카츠) => 勝かった(카ㅅ따, 캇따) - '사다'의 '買かった(캇따)'랑 발음이 같죠?
가만히 보니까 얼추 법칙이 있어보이지 않습니까?
읏따, 읏따, 읏따따~
주황색인 맨 뒷글짜가 변해서 'ㅅ따'가 되는군요.
(모든 동사변형이 그런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동사의 60% 정도가 그렇습니다.
오늘 동사변형 공부 다 하면 막 질리니까, 다음에 동사 전문으루다가 하겠습니다.
되게 길어요. 동사는. 훗훗. 각오하세요.)
어찌되었든!
과거형 뒤에도 でしょう를 붙일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車くるま(を) 買かった(ん)でしょう? (쿠루마(오) 캇따(ㄴ)데쇼우?)
현재형으로 '買かうでしょう?' (카우데쇼우?) 라고 하기 쉬우니 주의하시길.
그러면 (앞으로) '살꺼지?' 라는 의미가 됩니다.
질문과 답변
질문>
水みず(미즈) 와 お水みず(오미즈) 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답변>
일본은 단어 앞에 'お(오)' 를 붙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寿司すし(스시) => お寿司すし(오스시): 스시, 초밥
弁当べんとう(벤토우) => お弁当べんとう(오벤토우): 도시락
刺身さしみ(사시미) => お刺身さしみ(오사시미): 회
仕事しごと(시고토) => お仕事しごと(오시고토)
'お'가 붙으면 의미가 어떻게 변하는 것인지 궁금해 하셨던 분들도 꽤 있으실 겁니다.
원체 우리나라에는 없는 감각이라 이해하기가 좀 난해하실 수도 있지만,
간단하게
'품위를 더하는 말'
입니다.
예를들어 'お'를 안 붙이고 그냥
弁当べんとう 食たべよう(벤토우 타베요우) : 도시락 먹자
라고 하면 좀 건들건들하고 남성적인 느낌이 들지만 (품위레벨 ★)
お弁当べんとう 食たべよう(오벤토우 타베요우) : 도시락 먹자
라고 하면 좀 더 품위가 있어보이는 느낌이 듭니다. (품위레벨 ★★★★)
무슨 소린지 모르겠다구요?
한마디로,
'お'를 붙이는 편이 말하는 사람의 품위도, 듣는사람의 품위도 올려주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절대적으로 붙이는 편이 좋다는, 그런 이야기! (여성분이라면 특히!)
자! 따라해 보세요~
お水みず ください!! (오미즈 쿠다사이!) : 물 주세요!!
お弁当べんとう ください!! (오벤토우 쿠다사이!) : 도시락 주세요!!
お寿司すし ください!! (오스시 쿠다사이!) : 스시 주세요!!
お刺身さしみ ください!! (오사시미 쿠다사이!) : 회 주세요!!
이야~~~~
잘 하시네~ 걍!
질문>
'~でしょ(데쇼)' 는 '~싶지', 'でしょう(데쇼우)' 는 '~싶지요?' 아닌가요?
답변>
'~でしょ(데쇼)' 는 원래 'でしょう(데쇼우)' 인데 일상 회화체에서 줄여서 쓴 것입니다.
둘 다 같은 말입니다.
'~싶지?, ~싶지요?' 가 되려면
'でしょう(데쇼우)' 앞에 '~(하고)싶다'라는 의미의 'たい(타이)'를 결합시켜서
~たいでしょう? 라고 합니다.
お水みず 飲のみたい でしょう? (오미즈 노미타이 데쇼우?): 물 마시고 싶죠(싶지)?
이런 식으로.
질문>
'でしょう(데쇼우)' 와 'ですよ(데스요)' 의 차이는?
답변>
'~でしょう(데쇼우)'는 지금까지 설명 드린대로 '~죠? , ~지? , ~하지요?' 라는 의미이고
'~ですよ(데스요)' 는 '~입니다.'의 의미인 'です(데스)' 에 'よ(요)' 를 합친겁니다.
그럼 슬슬 궁금해지죠?
'よ(요)' 를 갖다 붙이면 뉘앙스가 어떻게 변하는지?
디게 어려운데...
자, 보세요.
あの人 バカでしょう? (아노히토 바까데쇼우?) : 그 사람 바보죠?
あの人 バカです。(아노히토 바까데스) : 그 사람 바보입니다.
あの人 バカですよ。(아노히토 바까데스요) : 그 사람 (제가 생각하기엔) 바보예요.
無理むりでしょう? (무리데쇼우?) : 무리죠?
無理むりです。(무리데스) : 무리입니다.
無理むりですよ。(무리데스요) : (제가 생각하기엔) 무리예요.
문장 가장 뒤에 'よ(요)' 를 붙이면 자기 의견을 반영해서 하는 말이라는 느낌이 들어갑니다.
댓글 총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