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가 같다고 해서 과정이 중요하지 않다고는 할 수 없는 법이다.
암~
오늘의 일본어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90%이상은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단어가 나왔습니다!!
先せん生せい(센세-): 선생님
여기서 주목할 것이, 한문을 잘 보시면 '선생' 이라고만 써 있죠?
일본에선 우리나라라면 '님'을 붙이는 단어에 '님'을 붙이지 않는경우가 많습니다.
社しゃ長ちょう(샤쵸-) : 사장님
園えん長ちょう(엔쵸-) : 원장님
校こう長ちょう先せん生せい(코-쵸-센세-): 교장선생님
그 단어 자체에 존경의 의미가 이미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를 때에도 이런 식으로.
校こう長ちょう先せん生せい(코-쵸-센세-)!안녕하세요!
직역: 교장선생! 안녕하세요!
部ぶ長ちょう(부쵸우)、이제 그만 들어가 보겠습니다.
직역: 부장, 이제 그만 들어가 보겠습니다.
뭔가 조만간 흠씬 두들겨 맞을 것 같은 분위기가 물씬 나죠?
하지만 이것이 일본에선 정석입니다.
단, '왕 일가'라던가 '신(神)'을 부를때에는 '님'을 붙입니다.
일본어로 '님'이라는 뜻의 단어는 여러분도 모두 잘 아시리라 생각되는
さま! (사마)
王おうさま(오-사마) : 왕
王おう子じさま(오-지사마) : 왕자님
お姫ひめさま(오히메사마) : 공주님
(최지우가 일본에서 'ジウ姫ひめ(지우히메)' 즉 '지우공주'라고 불리우고 있습니다.)
神かみさま(카미사마) : 신, 하느님.
イルンさま(이룬사마) : 이룬님. (●^o^●)베시시...
자, 여기서 'さま(사마)' 하면 일본열도를 후끈후끈 달아오르게 했던 전설적인 그분이 있죠?
ヨンさま(욘사마)!!!
冬ふゆのソナタ(후유노 소나타) : 겨울의 소나타. 한류의 원조 '겨울연가' 의 일본 제목.
(물론 위의 일러스트와는 전혀 관계 없습니다... 아마도.)
모처럼 얘기가 나왔으니 욘사마가 왜 대단한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한국에 계신 분들이 갖고 계신 의문이 몇 가지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욘사마가 정말 일본에서 그렇게 인기가 있는가?'
'매스컴에서 과장해서 떠드는 것은 아닌가?'
확실하게 말씀드리자면
정말 인기가 있었습니다.
요즘은 좀 사그러든 면도 없지않아 있지만 욘사마 이후
'ビョンさま(뵨사마): 이병헌' (이거 발음 위험하죠?)
'ピさま(피사마): 비' (이 발음 역시 위험하시고).
원빈, 권상우, 박용하... 그리고 좀 한류에 매니악한 레벨에서 소지섭, 차태현 등,
한동안 일본 열도는 한류에 활활 불타올랐었죠.
3년 전 처음 일본에 왔을 때 생각 이상으로 인기가 있어서 깜짝 놀랐습니다.
일본에서 천황이 아닌 일반사람에게 'さま' 라는 칭호를 붙여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는 계기를 만든 것은 욘사마입니다.
그만큼 욘사마의 인기가 엄청났다는 반증이죠.
이룬사마....
하지만 욘사마의 진정 대단한 업적은 그로 인해 한국, 한국인의 이미지가 엄청나게 좋아졌다는 것.
아무것도 없이 일본으로 건너와 크고 작은 차별(비단 일본만 차별을 했던 것은 아닐겁니다. 타국에서 생활을 하면 '차별'이란 단어는 세계 어디를 막론하고 따라다니니까요)을 받으며 힘들게 지냈던 많은 한국인들이 힘겨웠던 지난 시절들이 무색할 만큼 한국인의 이미지가 좋아지고 생활하기 편해져서
"욘사마한테 상 줘야 혀!"
라며 욘사마를 칭찬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한국인이기 때문에 먼저 말을 걸어오고, 한국인과 결혼하고 싶다고 하는 사람이 파격적으로 늘었을 정도로 한국의 이미지는 그야말로 레벨 30단계 업!
욘사마를 좋아하는 어떤 일본 아줌마에게 욘사마가 왜 좋으냐고 물어본 적이 있습니다.
"자상하기 때문에"
그야말로 욘사마 붐으로 인해 한국, 특히 한국 남자는 '자상하다'라는 인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던 것이었던 것이었던 것이었습니다.
일본의 남자들은 의외로 애정의 표현이 서툴다고 합니다.
'사랑한다' 거나 '좋아한다'거나 하는 말들을 부끄럽기 때문에 거의 얘기 안 한다고 하죠.
샤이한 남자들이 많습니다. ^^
하지만 한국 드라마를 보면 사랑때문에 죽고사는 남자들이 바글바글 하니...
자상함은 부록이요,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라면 목숨이라도 던질 것 같은 열혈청춘들.
매일매일 사랑한다고 속삭여주고, 어루만져주고...
일본 주부들이 빠져들 수 밖에 없죠.
결혼한 뒤 변하지만 않으면 금상첨화죠? 한국남자.
후후후후후....
저를 비롯한 한국 남자분들!
한결같읍시다!
노력해야지... 노력해야지...